본문바로가기
오늘 하루 열지 않기
이전
다음
닫기
사업안내
단지안내
세대안내
관심고객등록
1522-9383
문의
관심고객등록
전체메뉴
브랜드소개
사업개요
입지환경
오시는길
프리미엄
커뮤니티
단지배치도
동호수배치도
75A
84A, A-1
84B
110A
관심고객등록
언론보도
close
사업안내
브랜드소개
사업개요
입지환경
오시는길
단지안내
프리미엄
커뮤니티
단지배치도
동호수배치도
세대안내
75A
84A, A-1
84B
110A
관심고객등록
관심고객등록
언론보도
분양문의
1522-9383
01
용인 고진역 대광로제비앙
새로운 반도체도시의 탄생!
압도적 원탑!
02
용인 고진역 대광로제비앙
새로운 반도체도시의 탄생!
압도적 원탑!
01
02
이전
다음
popup
입지환경
프리미엄
커뮤니티
언론보도
게시판
검색어 입력
검색하기 실행 버튼
All
매일경
2025-10-27
삼성전자 반도체 이익 내년 3배로 뛴다
AI發 범용 D램 수요 급증에 가격 3배로DDR5 이윤, HBM3E 웃돌 가능성 제기증권가 “2018년 이후 최대실적 예상돼” 사진 확대[삼성전자]인공지능(AI) 인프라 확충 경쟁이 고대역폭메모리(HBM)에 집중됐던 투자와 수요를 범용 D램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들이 연산 인프라 확대에 속도를 내면서 HBM 중심의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일반 서버용 D램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메모리 수요 기업들은 장기 계약과 선주문을 확대하며 대응에 나섰고 D램 가격은 반년 만에 세 배 가까이 올랐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 영업이익도 내년에 올해의 세 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26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D램 주요 제품인 DDR4(1Gx8 3200MT/s) 평균 현물 가격은 7.93달러로, 전주 7.22달러 대비 9.86% 상승했다. 다른 범용 D램 제품도 6~15% 수준의 오름세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이런 가격 상승이 단기적인 투기보다는 AI 서버 확산에 따른 구조적 수요 증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진단했다.오픈AI,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연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AI 서버 확충을 이어가고 있다. AI 모델을 학습·추론하는 서버는 기존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한 대당 탑재되는 D램 용량이 빠르게 늘어난다. 이에 따라 내년 서버당 평균 D램 탑재 용량은 전년보다 두 자릿수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서버용 D램 수요 역시 20%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D램 수요는 급격히 늘고 있지만 공급은 HBM 투자 확대 탓에 제한돼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HBM 중심의 메모리 설비 투자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두 회사 모두 올해 말부터 내년까지 HBM4 양산에 집중할 계획으로, 일반 D램 생산능력을 단기간에 늘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HBM에 설비가 몰리면서 범용 D램 생산 여력이 빠르게 줄고 있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구형 반도체 생산량을 줄이면서 시장 전체가 고성능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소라 기자 park.sora@mk.co.k
1